만세력 보는 법

2020. 7. 10. 11:00명리이야기

반응형

사주팔자란 무엇일까요?

어떤 사람이 태어난 년월일시에 따른 글자들의 조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런 사주 팔자는 어떻게 알아볼 수 있을까요?

지금처럼 스마트폰이 없던 예전에는 만세력이라는 책자로 사주팔자를 따져보곤했는데,

지금은 스마트폰의 앱으로 간단하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어떻게 사주팔자를 찾는지 한번 알아볼까요?

만세력 앱이 많은데, 저는 무료인 원광만세력을 주로 사용하므로 원광만세력을 기준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스마트폰 앱스토어나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검색창에 '원광만세력'이라고 입력합니다.

 

 

원광만세력을 다운받으면 이런 페이지가 나옵니다.

 

원광만세력 앱에는 만세력을 저장해서 DB화할 수도 있고, 일진도 볼 수 있습니다(일진은 하루하루를 천간+지지 글자의 조합으로 나타낸 것인데 오늘은 갑인일입니다). 물론 만세력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사주 입력창에 오늘(2020년7월10일)기준으로 현재 시간을 입력해 봤습니다. 여자, 양력 기준입니다.

위 사항을 입력하고 명조보기를 눌렀습니다. 그랬더니 다음과 같은 사주가 나왔습니다.

 

빨간색 네모로 되어있는 부분이 사주팔자입니다.

경자년 계미월 갑인일 기사시에 태어난 여자로, 태어난 해를 나타내는 경자를 년주, 태어난 달을 나타내는 계미를 월주 태어난 날을 나타내는 갑인을 일주, 태어난 시를 나타내는 기사를 시주라고 합니다.

 

사주팔자 위아래에 파란네모로 되어있는 부분은(정재, 일원,정인, 편관...) 사주팔자의 오행에 따른 십성이라고 합니다. 오행은 목,화,토,금,수 다섯글자를 말하는데 위 사주를 가진 사람은 목,화,토,금,수의 다섯가지 오행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초록네모 친 것은 위 사주의 대운이라고 합니다. 보통 대운은 십년마다 바뀝니다. 이 사주는 이제 막 태어났고 1.3세부터 임오대운을 살아가게 됩니다.

빨간색으로 2020년 이라고 쓰여져 있는(경자라고 쓰여져 있습니다) 란은 세운이라고 합니다. 세운은 해마다 달라집니다.

 

사주팔자를 사주원국이라고도 하는데 대운과 세운 사주원국과의 관계를 보면서 올해에는 어떤 영향을 받는지, 대운을 통해서는 십년간 어떤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는 것이 사주팔자 해석입니다. 간명이라고도 합니다.

 

만세력으로 사주 살펴보기 참 쉽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은 한번 살펴보세요. 내 사주가 어떤지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명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간론  (0) 2020.10.01
오행론  (0) 2020.09.30